본문 바로가기

All Categories/Algorithm

[백준] 2630번 - 색종이 만들기 (재귀) (swift) 재귀란? 하나의 함수에서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해 작업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이다. 절차지향적 사고 vs 귀납적 사고 → 과정을 하나하나 따라가는 대신 귀납적인 사고로 이해하기 재귀 함수의 조건 특정 입력에 대해서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지 않고 종료되어야 함(Base condition) 모든 입력은 base condition을 수렴해야 함 → 이 두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지켜지지 않는다면 재귀 함수는 결과를 내지 못하고 무한히 들어가다가 런타임 에러가 날 것 재귀에 대한 정보 1 함수의 정의를 명확하게: 함수의 인자로 어떤 것을 받고 어디까지 계산한 후 자기 자신에게 넘겨줄지 명확하게 정해야 함 모든 재귀 함수는 반복문만으로 동일한 동작을 하는 함수를 만들 수 있음. 재귀는 반복문으로 구현했을 때에 비해 코.. 더보기
python) int 데이터 타입의 크기 - swift와 코드 비교 안녕하세요. zhi재희입니다. leetcode 66. Plus One 을 풀다가, 다른 언어보다 python이 데이터 타입의 크기에 관대하다고 느껴져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~! 먼저 이 문제는 array로 주어지는 정수에 1을 더하여 arrary로 반환하는 문제입니다. 제약 조건으로는 array의 크기는 1~100이고, arrary의 각 요소는 0~9 사이의 수입니다. (단, 0으로 시작하지 않음) 제가 채택한 풀이법은 1. digit을 reversed로 역순으로 만들어 10의 i(인덱스) 제곱을 한 수를 각 자릿수에 곱해준다. 2. 1을 더한 후 map으로 어레이를 만들어 반환한다. class Solution: def plusOne(self, digits: List[int]) -> List[int].. 더보기

반응형